5. 통계 검정 기초 : Wilconxon Signed Rank검정(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예제, 정규분포가 아닐때 1. Wilcoxon 검정이란? 만약 모집단이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는 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정규성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T검정 Z검정등 우리가 기존에 공부한 검정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검정 방법들의 사전 가정은 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만족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실제 생활에서 분석되는 통계 자료들은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어떤 방식으로 통계 검정을 해야하는 가 오늘 알아보자. 다음 그림은 데이터 자료에 붙여둔 통계 검정 정리표이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Wilcoxon 이며, 이게 어떤 분석인지 한 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표를 붙여 놓았다. 2. Wilcoxon 검정의 종류 Wilcoxon 검정이란 모집단이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할 때 사.. 4. 통계 검정 기초 , 독립 표본 T검정 : 이분산일때 (Welch`s t test) 독립 표본 T검정 : 이분산일때 (Welch`s t test) 4번인 표본개수가 불충분하면서도 모분산 동일성을 모를 때 사용하는 검정이다. 이는 Welch`s t test 라고도 한다. 즉, 이 검정을 사용하는 경우는 바로 모집단들의 분산을 모를때인데, 사실 실제 통계에서는 이런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등분산과 이분산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엔 어떤 것이 있을까 ? 등분산은 아래 그림에서와 왼쪽에서와 같이 분산이 같은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에는 표현되어있지 않지만, 당연히 평균은 다를 수 있다. 이분산은 오른쪽과 같이 분산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등분산 이분산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F 검정법인데, 이는 전 시간에 Excel data로 설명했으므로 넘어가도록 .. 3. 통계 검증 기초 - 독립 표본 T 검정 (검정 방법/예시) : 등분산 가정일 때 독립 표본 검정이란, 두 모집단의 관계가 서로 독립일 때 사용되는 검정이다. 독립 표본은 대립 표본에 비해서 조금 복잡한데, 그 이유는 표본의 갯수와 모분산의 동일성에 따라 검증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1. 표본 개수가 충분하고 , 모분산이 동일할 때 2. 표본 개수가 충분하고, 모분산의 동일 여부를 알 수 없을 때 3. 표본 개수가 불충분 하고, 모분산이 동일할 때 4. 표본 개수가 불충분 하고, 모분산의 동일 여부를 알 수 없을 때 이렇게 총 4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표본 갯수가 충분할 때는 Z검정을 통해 통계 검증을 진행하며, 표본 개수가 불 충분할 때 T 검정을 진행한다. 즉, 독립 표본 T검정이란, 양적 자료 이고, 두 모집단의 관계가 서로 독립이며, 표본 갯수가 불충분할 때 사용하는 .. 2. 통계 검증 기초 - 대응 표본 T 검정 T 검정 - 대응표본 및 독립 표본 T 검정이란, 양적 데이터의 검증 방법이다. T 검정의 방법에는 모집단의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집단 A와 모집단 B가 연관성이 있다면,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하고, 모집단 A와 모집단 B가 연관되지 않는다면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한 데이터 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응표본과 독립 표본 비교는 두 모집단의 평균 차이에 대한 비교 방법이다. 대응 표본 -표본끼리 연관성이 존재함. -한 집단 내, 데이터를 반복 추출하는 경우 -실험 약 투약 전/후 끼리의 비교 방법이 있다. 독립 표본 -서로 다른 두 모집단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대응표본 t-test의 논리 두 모집단의 차이를 구한다. 귀무가설 : 두 모집단에서의 차이의 평균은 0이다. 검정통계량 T가 기각.. 1. 통계 검정 기초 - 자료의 종류 Index 1. 양적 데이터 & 질적 데이터 통계 검정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데이터를 검정할 것인가' 이다. 데이터를 관측하고, 알맞는 검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검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떤 데이터 형태인지 알아야 적절한 통계 검증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오늘은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1. 양적 데이터 검정 VS 질적 데이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데이터가 양적 자료인지, 질적 자료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양적/질적 데이터에 따라서 검정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양적 데이터를 검정 방법에는 Z검정과 T검정이 있으며, 질적 데이터를 검정 방법에는 카이제곱 검정등이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