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네일 높은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우려 될 때 투자할만한 주식은? 인플레이션 시기 어떤 주식에 투자해야 할까? 높은 소비자 물가 지수와 높은 금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우리는 투자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를 파악하는 기사가 있어 오늘은 영어 기사 하나를 읽어보고자 한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인플레이션 상황에서의 7가지 종목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고자 한다. 기사 원문 및 출처. 7 Stocks That Are Good Inflation Investments | Investing | U.S. News (usnews.com) 7 Stocks That Are Good Inflation Investments Buy these inflation stocks to protect your portfolio. money.usnews.com Analysts recom..
썸네일 [경제 바로 알기] 한은 금리 인상의 이유, 달러 강세와 긴축 정책 한국의 금리 인상 : 한은 기준 금리 4회 인상하다. 대부분이 인상된 금리에 대한 부담이 대폭 증가했다. 매우 실감나게 인상률이 체감이 될 정도로, 기준 금리가 짧은 기간동안 많은 상승이 있었다. 무려 4번의 기준 금리 상승으로, 현재는 2.50% 까지 기준 금리가 인상되었다. 작년에 비해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로 각 가계의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대부분 한번쯤은 한국은행에서의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뉴스를 접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 은행에서 금리 인상을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1. 원화 약세에 대응 2. 물가 상승을 막고, 긴축 정책 시행. 이렇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금리 인상의 이유 1. 원화 약세 강달러의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 달러는 원화로 1달..
썸네일 매달 월세 처럼 , 월 배당금을 주는 주식이 있다고? 늘어가는 이자율, 쉽지 않은 자영업. 매달 드는 고정 지출 비용 등 돈 버는 일은 어렵고 쓰는 일은 쉬운 세상 속에서, 매달 들어오는 월 배당금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지고 있다. 배당금을 매달 준다고? 지금까지 인기 있는 배당금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었다. 대표적으로는 O , SCHD 등 배당주에 관심 있는 미국 투자자들이라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법한 이름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런 단일 품목의 주식이 아닌, 국내에서 새롭게 선보였던 ETF / ETN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 ETF / ETN 이란 ? ETF 와 ETN 이 무엇일까? 분명 여기저기서 들어는 보았으나, 확실하게 차이를 알고 있지는 않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1. ETN(Exchange Traded N..
썸네일 테이퍼링 시행 선언에 따른 한국 금리 정리. 미국 연준 테이퍼링 시행 선언하다. 미국 테이퍼링 실현 가능성이 결국 현실화 되었다. 지금 당장 금리 인상이 있지는 않다 하더라도, 테이퍼링 이후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미국 연준에 따르면 11월 말 150억 달러 채권 매입을 줄이고, 12월 역시 150억 달러의 채권 매입 감소의 견해를 밝혔다. 미국의 정책은 한국의 경제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렇기에 테이퍼링 시행 선언이 한국의 경제에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 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은 간단하게, 시장 금리를 대표하는 지표가 무엇인지 그리고 지표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추가로 소비자 물가 지수와 한국 기준 금리 및 현재 시중 은행의 정책들을 조금 살펴보면서 한국 경제 흐름의 대략적인 줄기를 살펴..
썸네일 [국제 유가 상승 원인] 2021 하반기 2022 상반기 국제 유가 전망 국제 유가 상승세가 매우 강하다. 근 7년 최고치를 갱신하며 유가의 가격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전망이다. 이제는 1600원대의 휘발유 가격을 보기 힘들어졌으며 1800원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다면 현재 국제 유가 가격이 이렇게 치솟는 원인이 무엇인지 에너지 경제 연구소 자료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국제 유가 전망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언제쯤 가격이 안정화 될 지 예측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국제 유가 증가 원인 1-1) 수요의 증가. 코로나 백신의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경제도 빠른 속도로 일상회복을 노리고 있다. 이에 따라 OECD 국가 및 비OECD국가들 모두 경제 회복을 노리면서 석유의 사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음 표를 보면, 2..
썸네일 NNOX - ZEBRA 합병 및 USARAD 인수 소식. 8월 10일 NNOX에서 핵심적인 2가지 발표를 하였다. 바로 Zebra와의 합병과 USARAD 인수 소식이다. 이 합병으로 나녹스는 로고와 홈페이지가 모두 바뀌었다. 어떤 방식으로 합병 및 인수를 진행하는지 살펴보자. NNOX FORM 6- K Form 6-K 에 밝힌 내용 중 핵심 내용 몇 줄만 살펴보았다. 1. Zebra의 합병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 되는가 ? The Company announced that it has entered into an agreement to acquire a leading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eloper Zebra Medical Vision for a total of $100 million upfront, and up..